한국시험인증원

알림마당

FAQ

총수량 : 59
  • Q
    사이버보안 시험
    사이버보안 진단은 어떻게 수행하나요?
    add
  • 사이버보안 요구사항을 위한 체크리스트 기반의 취약점 진단과 취약점을 이용한 개인정보탈취 및 시스템 장악 가능여부를 진단하는 모의침투 진단을 수행합니다.
  • Q
    사이버보안 시험
    EN 303 645가 무엇인가요?
    add
  •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(ETSI)가 2020년 6월에 발표한 IoT 환경의 게이트웨이, 출입문 잠금장치, 스마트 가전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관하여 소비자 IoT를 위한 인터넷 기반 소비자 제품의 사이버보안에 대한 기준을 의미합니다
  • Q
    사이버보안 시험
    EN 18031이 무엇인가요?
    add
  • EN 18031 시리즈 표준이 무선설비지침(RED) 하의 표준이며, Part1 인터넷에 연결된 무선기기, Part2 무선기기에 대한 안전 요구사항, Part3 무선기기의 Payment에 관련 처리하는 보안 요구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  • Q
    사이버보안 시험
    제어 시스템을 위한 사이버보안 요구사항 국제표준이 있나요?
    add
  •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국제 표준 IEC 62443은 네트워크를 통한 위험 최소화를 목적으로 고안되었으며 임베디드 장치, 네트워크 장치, 호스트 장치,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등 4종의 산업제어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안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
  • Q
    사이버보안 시험
    의료기기 사이버보안 적용 대상 제품은 무엇인가요?
    add
  • 의료기기의 사이버보안 적용 대상 제품은 유·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거나 통신 경로가 존재하는 모든 의료기기입니다. 여기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제어기(PLC)를 포함한 의료기기, 소프트웨어(펌웨어)를 포함한 의료기기, 그리고 소프트웨어 의료기기(Software as a Medical Device, SaMD) 등이 포함됩니다.
  • Q
    사이버보안 시험
    RED 인증에 사이버보안 시험 평가가 의무인가요?
    add
  • 네, 유럽연합(EU) 무선기기 지침(RED: Radio Equipment Directive)에 따르면 2025년 8월 1일부터 유럽 시장에 출시되는 모든 무선기기는 사이버보안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.
  • Q
    사이버보안 시험
    시험 소요 기간을 알고 싶습니다.
    add
  • 진단 대상에 따라 평균 20일 정도 소요 됩니다.
  • Q
    사이버보안 시험
    무선기기의 사이버보안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어떤 서류가 필요한가요?
    add
  • 한국시험인증원(주)의 시험신청서를 작성해 주시고 진단 범위에 해당되는 항목의 관련 자료(예: 아키텍처, 기능 설명서, 암호화 방식 등)를 제출해 주시면 됩니다.
  • Q
    기능안전시험
    소스코드 수정 후 2차 진단이 진행되나요?
    add
  • 룰셋을 위반한 소스코드가 모두 수정될 때까지 추가 진단이 진행됩니다.
  • Q
    기능안전시험
    어떤 코딩 룰셋을 적용해야 하나요?
    add
  • MISRA, CERT, CWE 등의 룰셋으로 시험이 가능하며 인증에 필요한 세부 룰셋을 설정하여 시험이 가능합니다.
  • Q
    기능안전시험
    한국시험인증원에서 사용하는 시험도구는 무엇인가요?
    add
  • IEC 61508, IEC 62279, ISO 26262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툴 검증 및 유효성 검사가 완료된 도구를 사용하여 개발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인증을 지원합니다.
  • Q
    기능안전시험
    소스코드 복잡도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    add
  • 소스코드의 복잡도(Cyclomatic Complexity)는 복잡도가 낮을수록 프로그램이 구조적으로 안정되었다는 의미이며 분기를 만드는 결정문(Decision)의 개수 +1을 하여 계산합니다. 인증을 위해서는 이 수치를 10 ~ 20 이하로 낮추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
  • Q
    기능안전시험
    시험 수수료는 어떤 방식으로 결정되나요?
    add
  • 정적시험은 소스코드 라인수로 결정되며 동적시험은 소스코드의 라인수, 복잡도, 측정할 커버리지의 종류에 따라 수수료가 결정됩니다.
  • Q
    기능안전시험
    시험 기간 중 소스코드 수정이 가능한가요?
    add
  • 정적시험 후 발견된 결함에 대하여 수정이 가능합니다. 동적 시험이 시작된 이후에는 소스코드 수정이 제한됩니다.
  • Q
    기능안전시험
    시험을 신청하기 위하여 전달해야 할 소스코드 정보는 무엇인가요?
    add
  • 개발 및 빌드 환경(OS), 통합 개발 환경(IDE), 컴파일러의 종류와 버전 정보가 필요하며, 타킷(실행환경), 개발언어, 소스코드 라인 수 정보가 필요합니다. 자세한 내용은 소스코드 시험 신청서 양식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.
  • Q
    기능안전시험
    소스코드 시험 신청 후 진행 절차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.
    add
  • 의뢰주신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한국시험인증원이 보유한 테스트 도구로 시험이 가능한지 판단 후 환경 세팅을 진행합니다. 그 이후 소스코드 정적시험과 동적시험을 수행합니다.
  • Q
    과제결과검증(V&V) 시험
    시험용 데이터는 누가 준비해야 하나요?
    add
  • 시험용 데이터는 시험 의뢰기업에서 준비 및 제공해주셔야 합니다.
  • Q
    과제결과검증(V&V) 시험
    사업계획서상의 목표와 평가지표가 다릅니다.
    add
  • 사업계획서외 작성된 성능지표에 준하여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. 변경이 필요 할 경우 사전에 협약 변경 절차 또는 심의위원회를 거져 사업계획서상의 평가지표 수정이 필요하므로 과제 담당자에게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.
  • Q
    과제결과검증(V&V) 시험
    현장시험(출장)이 가능한가요?
    add
  • 한국시험인증원 내부에서 시험이 어려운 경우, 현장시험(출장)이 가능합니다.
  • Q
    과제결과검증(V&V) 시험
    GS인증과 시험성적서의 차이에 대하여 알고싶습니다.
    add
  • GS(Good Software) 인증은 실제 운영환경과 유사한 시험환경에서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시험평가를 통해 SW제품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로, 인증 기준 만족 시 GS인증서를 발행합니다.
    시험성적서는 신청 기업이 제시한 방법 또는 다양한 규격(예: 국제표준 ISO/IEC 25023 등)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시험해 그 결과를 시험성적서로 발행합니다.
1 2 3 

빠른 서비스